본문 바로가기

알아두자좋은정보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 펑크

자차를 운전하는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인 타이어공기 Tire관리만 잘해줘도 사고를 면할수 있습니다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타이어 공기압 타이어 지렁이 타이어 펑크 적정공기압을 알아보겠습니다.

운전을 하다보면 타이어 공기압 센서가 반응해서 공기압 경고등이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류일 수도 있지만 높은 확률로 타이어 펑크와 직결되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여름철 또 휴가철에는 정말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장거리 주행시에 타이어 공기압이 들어온다면 당장 멈추고 타이어 전문점 혹은 인근의 카센터를 방문하셔야 합니다.

고속도로 주행시라면 휴게소의 정비센터를 방문하시거나 휴게소 카센터가 없는곳은 긴급출동을 부르셔서 꼭!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 해주셔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 경고등

차량 운전시에 자동차 경고등이 뜨는 곳에서 느낌표가 뜬다면

그게 바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입니다.

 

경고등은 총 세가지 색깔로 안내가 됩니다.

1. 초록색 - 깜빡이나 상향등 보조신호등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색깔

2. 노란색 -노란색 경고등은 주의하라는 표시 입니다.

주행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해당하는 자동차경고등의 상태를 확인 점검 수리해봐야하는 색깔 입니다.

 

3. 빨간색 주행에 문제가 생기는 위험한 경고색깔 입니다.

빨간색 경고등이 떴을때는 즉시 안전한곳에 차를 대피시키고 본인이 차량을 확인 혹은 점검 하시거나 보험회사에 긴급출동을 부르셔서 상태를 해결하셔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이렇게 노란색으로 뜹니다. 노란색에 느낌표 자동차 경고등 느낌표가 뜨는것이면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입니다. 이럴때는 무리한 주행은 삼가하시고 시내주행이라면 카센터로 가셔서 펑크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타이어 펑크 타이어 지렁이

 

타이어 경고등이 떠서 카센터를 가셨다? 그런데 크게 손상된것이 없고 피스나 못때문에 펑크가 난 상황이라면 카센터에서 지렁이라고 부르는것으로 조치를 해주실것 입니다.

방문하셨을때 수리시 타이어 펑크났을때 타이어에 지렁이를 넣는다는건 지렁이색깔의 끈끈이를 넣어서 펑크난 부분을 메꿔주는 역활을 해주는데요.

타이어 지렁이의 경우에는 타이옆면에 펑크가 났을때는 사용하지 못하며 바닥부분에 펑크가 났을때 조치를 취할수 있는것 입니다.

 

타이어 지렁이

출장 카센터를 부르는 경우와 카센터를 직접 찾아간경우에 이렇게 조치를 취해주십니다.

타이어 지렁이 처리를 한 후에도 공기압 경고등이 떠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은 10~15분 후면 자연스레 공기압경고등이 사라지게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타이어 지렁이

 

타이어 적정 공기압

타이어 적정 공기압 확인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운전자석 문을 여시면 운전석 옆에 검은색 혹은 은색으로 스티커가 붙여져 있습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

거기 보시면 휠 크기와 추천 공기압을 확인가능하십니다. 자기 차량의 타이어 크기에 따라 공기압을 조정해서 넣으시면 됩니다.

사실 우리가 직접 넣는것이 아니기때문에 차량 정비소에서 맞춰주실것입니다. 혹시나 이 라벨을 확인하지 않으신다면

타이어 공기압을 미리 체크해주시고 거기에 맞춰달라고 요구하시면 됩니다.

정말 간단한 타이어 적정 공기압 넣기 방법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