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기본소득 지원대상은?
공무원 재난기본소득 수령가능 한지와 공공기관 재직자, 교직원 재난기본소득 수령
2020년 중위소득은 얼마일까요?
경상북도 재난긴급 생활비 수령
현재 경상북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안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원대상 | 기준중위소득 85% 이하 가구 |
지급방식 |
지역사랑상품권 |
지원금액 |
1인가구 50만원 2인가구 60만원 3인가구 70만원 4인가구 이상 80만원 |
긴급생활비 신청방식 온라인신청
신청방식 | 신청 기간 | 신청 장소 |
오프라인신청 | 4. 1(수) ~ 4.29 (수) / 4주간 | 읍·면·동 복지센터 |
온라인 신청 | 4. 3(금) 온라인 신청 가능 | http://gb.go.kr/ |
먼저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에는 가까운 주민센터,복지센터 동사무소를 찾아가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사람들을 접촉하는것 자체가 위험하고 어쩌면 위험에 노출되기를 자청하는 행위인것 같습니다. 가능하면 온라인 신청방법으로 진행 하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어쩔수 없이 온라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주민센터를 찾아가셔야겠지만 꼭 온라인으로 신청하시길 바라요.
출생년도별 신청 5부제 실시
오프라인으로 신청시에 기존에 마스크5부제와 동일하게 재난긴급생활비 신청도 5부제를 실시 하고 있습니다. 현행 5부제와 같으니 참고하시여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가구별 지원금액 안내
▶1인가구 50만원
▶2인가구 60만원
▶3인가구 70만원
▶4인가구 이상 80만원
긴급재난생활비 지원제외 대상
기존에 정부지원대상가구에게는 이번 경상북도에서 실시하는 긴급생활비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지원대상 제외 자, 제외 직종
정부지원대상가구
저소득 한시생활지원 대상자
코로나19 지역고용대응 특별지원금 사원 지원대상자
실업급여 대상자
국가 및 지자체 공무원,
교직원,공공기관 임직원
이번 긴급생활비 지원대상에는 공무원,교직원,군인,공공기관 임직원은 지급이 안된다고 합니다. 일단 국가직 지방직 공무원과 직업군인 모두 포함되며, 공공기관임직원은 대한민국의 36개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95개 기타공공기관 209개가 포함이 됩니다. 더불어 공무직직원도 긴급생계자금을 지급받지 못합니다. 교육공무직의 종류로는 돌봄전담사,특수교육실무사,유아교육사,임상심리사,조리사,조리실무사,행정실무사 등이 있습니다.
중위소득 확인방법
기본중위소득 확인방법으로는 중위소득 계산을 진행해야 합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 본인의 기본중위소득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소득재산정보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소득재산정보에는 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기타소득,국민연금보험료가 있으며,건축물이나 토지의 부동산에서나오는 재산소득도 입력을 해야 합니다.
중위소득 확인 방법 사이트 안내
http://m.bokjiro.go.kr/gowf/wel/welsvc/imtcalc/WelImtCalcStep.do
위 사이트에서 본인의 중위소득 퍼센테이지를 확인하셨다면 다음의 기준과 비교해보시면 됩니다.
경상북도는 중위소득 85%이하 가구에게 지급합니다. 국가 재난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 | 1,493,615원 | 2,543,183원 | 3,289,990원 | 4,036,798원 | 4,783,605원 |
건강보험료로 중위소득 확인하기
가구구성원 | 소득 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액 | ||
직장 가입자 | 지역보험 가입자 | 혼합 | ||
1인 가구 | 2,636,000 | 88,344 | 63,778 | |
2인 가구 | 4,448,000 | 150,025 | 147,928 | 151,927 |
3인 가구 | 5,806,000 | 195,200 | 203,127 | 198,402 |
4인 가구 | 7,124,000 | 237,652 | 25,909 | 242,715 |
5인 가구 | 8,442,000 | 286,647 | 308,952 | 298,124 |
6인 가구 | 9,760,000 | 326,561 | 349,099 | 343,406 |
7인 가구 | 11,085,000 | 402,261 | 426,790 | 437,059 |
8인 가구 | 12,410,000 | 437,059 | 495,914 | 471,545 |
9인 가구 | 13,735,000 | 471,545 | 544,044 | 519,517 |
건강보험료 납입금액 기준으로 소득기준을 나눈 표 입니다. 회사에서 본인의 급여명세서를 확인하시면 건보료를 얼마나 내는지 확인 할 수있습니다. 건강보험료를 확인하시고 기준 중위소득 가구와 비교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2020/04/02 - [알아두자좋은정보] - 경기도 재난소득 10만원
[관련글]2020/03/29 - [알아두자생활꿀팁] - 청년기본소득 1년에 100만원